안녕하세요 대호입니다.
부동산 규제를 하면 가장 먼저 나오는 것이 LTV, DTI 강화입니다.
LTV, DTI를 왜 강화할까??
궁금하시지요??
그럼 우선 LTV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.
LTV는 Loan to Value ratio의 약자입니다.
일명 주택담보대출비율이라고 부릅니다.
주택담보대출비율은 말 그대로 주택담보대출을 해주는 비율을 말합니다.
아직 어떤 개념인지 헷갈리신다면??
주택담보대출 = 주택가격 × LTV (주택담보대출비율)
위에 공식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.
주택가격은 매매가격 또는 감정가격 KB시세 중에 산정이 됩니다.
이렇게 산정된 주택가격에 주택담보대출비율을 곱해주면 대출 가능금액이 나오게 됩니다.
LTV는 비율에 따라 대출가능금액이 다르게 됩니다.
1억원 × 70% = 7천만원 (현행)
1억원 × 60% = 6천만원(강화시)
매매가격 1억원을 기준시 천만원정도 차이가 납니다.
하지만 이보다 매매가격이 높아질수록 대출 가능금액이 높아집니다.
4억원 × 70% = 2억8천만원 (현행)
4억원 × 60% = 2억 4천만원 (강화시)
4억원일때 4천만원 차이가 나지요.
이 차이가 실제 주택 구매로 이어지는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.
천만원, 4천만원이 큰차이가 없다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,
이는 실제로 큰 차이를 보이며 실제 구매와도 직결이 됩니다.
실제 투자되는 현금이 더 늘어남으로 인해 주택구입을 못하는 결과를 불러옵니다.
전세가격은 올라서 힘들고 주택을 구입할려는데 대출금액은 적게 나오고,
그렇다고 월세를 가자니 부담되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결과가 나오지요.
또한 매도자들도 매매수요가 줄면 가격을 내릴 수 밖에 없습니다.
여유자금이 필요하신 분들도 있고 급하게 집을 파셔야 하는 분들도 있고,
여러가지 이유로 집 가격을 시세보다 내려서 파는 경우가 발생합니다.
주택 구입이 미루어짐으로 인해 매매수요는 줄고 공급은 많아지고,
당연히 거래량이 줄고 부동산 경기가 하락하고 이는 집가격의 하락으로 이어집니다.
가계부채는 일시적으로 줄일 수 있으나 부동산 경기 하락을 불러옴으로 인해,
서민으로 1주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피해를 보게 되어 있는 양날의 검 같은 정책입니다.
'대호의 부동산 지식 > 대호의 부동산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TI 계산기로 계산하는방법 (0) | 2017.06.22 |
---|---|
DTI 총부채상환비율은 무엇인가 (0) | 2017.06.21 |
부동산 뉴스 30대 절반이 월세를 산다 (0) | 2017.06.08 |
좋은 집 구하는 방법 체크리스트 활용하기 (0) | 2017.06.07 |
전월세 잘 구하는 방법 다섯번째(마지막) 계약 및 잔금 (0) | 2017.05.31 |